본문 바로가기

사회

무증상 메르스 간호사, 엉성한 방역체계 초비상

반응형

무증상 메르스 간호사, 엉성한 방역체계 초비상

 

무증상 메르스

무증상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해 엉성한 방역체계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무증상 메르스 간호사는 2주 넘는 격리후 전수조사서 우연히 발견됐다고 한다. 무증상 메르스 간호사를 통해 본 우리들의 방역체계는 여전히 엉성해 보이기만 한다.

 


울 강동구 상일동 경희대학교병원에서 메르스 증상이 없었는데도 감염된 일명 '무증상 확진' 사례가 발견돼 메르스 사태의 중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까지 무증상 감염자가 있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꾸준히 제기돼왔으나 실제로 이런 케이스가 등장하긴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에 방역체계에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무증상 메르스

보건당국이 27일 공개한 '무증상 확진자'는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인 182(27·) 환자다. 보건복지부는 브리핑을 통해 "무증상 메르스 환자는 지난 66일 응급실에서 76(75·) 환자에게 노출돼 지난 7일부터 24일까지 자가격리됐다""자가격리 기간에 특별한 증상이 없었다"고 밝혔다. 현재 이 병원의 격리병동엔 투석환자 97명이 1인 격리돼있는 상태이다. 또한 의료진 262명도 함께 격리돼 치료를 맡고 있다.

 


당국이 이들 의료진에 대해 전수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간호사가 양성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나머지 의료진은 모두 음성 판정이 나왔다. 대책본부 정은경 현장점검반장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문헌 보고를 보면 의료기관 종사자 가운데는 무증상으로 양성이 나온 사례가 있다""다만 전문가들은 감염력이 굉장히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무증상 메르스

이어 "보다 정밀한 역학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지금까지 당국은 증상이 발현된 경우에 한해 유전자 검사(PCR)를 벌여, 확진자를 추려내는 방식으로 방역체제를 유지해왔다. 따라서 역학조사에서도 '무증상 확진'임이 굳어질 경우, 방역체제 전반의 근본적 전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해당 간호사의 경우 2주 넘는 자가격리가 끝난 뒤 벌어진 전수조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만큼, 정부가 밝힌 최대 잠복기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메르스 무증상, 무증상 메르스, 강동경희대병원, 메르스초기증상 두통, 메르스 비타민c, 메스초기증상 가래, 증상없는 메르스, 메르스 무증상 감염, 메르스 증상 설사 근육통, 메르스 침, 비에비스나무병원 메르스, 나무병원 메르스, 비에비스나무병원, 발열없는 메르스증상, 메르스증상 두통, 메르스증상 기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