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메르스 확진, 투석실 뚫렸나?

반응형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메르스 확진, 투석실 뚫렸나?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아 충격을 주고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의 감염경로에 국민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627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이 병원 간호사(27·)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강동경희대병원측은 76(75··사망) 확진자가 지난 656일 머무른 곳으로 간호사를 포함해 모두 5명의 환자가 나왔다고 한다.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더욱이, 정부당국이 파악하지 못한 70대 고령 환자가 이 병원 투석실을 여러 차례 이용한 것으로 확인돼 추가 감염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역학 조사 결과 165(79) 환자는 메르스 증상이 발현한 지난 9일 이후 16일까지 2일 간격으로 강동경희대병원 투석실을 찾았다고 한다. 이 환자는 69일 미열과 기침 증세가 감지됐지만 한 차례 진행된 엑스레이(X-ray ) 촬영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아 격리 조치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611일과 13일 감염 의심 상태에서 투석실에 내원했고 616일에야 고열이 발생해 유전자 검사를 통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던 것이다.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최대 잠복기가 14일인 것을 고려할 때 이 간호사가 165번 환자를 통해 바이러스를 옮았을 가능성이 충분한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165번 환자에게서 감염된 첫 사례가 바로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가 될 수 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76번 환자를 통한 바이러스 잠복기는 이미 20일 끝났으며 이 병원에서는 새로운 감염원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다른 감염원이 나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보건당국은 "역학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만 한다. 결국, 환자의 동선 파악이 실시간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반증이 아니겠는가?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메르스가 주춤하고 있다는 정부, 하지만 한명 두명 확진자는 늘고 있는 상황, 도데체 정부말대로 메르스는 통제되는 것일까? 그냥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잦아들길 기다려야 하는 것일까

메르스 현황,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박원순, 메르스 병원, 메르스 확진자 현황, 메르스 현재황, 메르스, 강동경희대병원,박근혜, 문제인, 강동경희대병원 메르스, 강동경희대병원 투석, 서울아산병원메르스, 강동경희대 메르스, 강동성심병원, 강동경희대병원 폐쇄, 강동성심병 르스, 건대병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강동성심, 을지병원, 동탄성심병원, 건국대병원 메르, 건국대병원, 경희대병원 메르스,성심병원 메르스, 강동성심병원 메르스환자, 메르스 강동경대병원, 메르스 강동성심병원, 메르스 강동, 상일동 메르스, 강동구 메르스 병원, 강동성심원, 경희대 메르스, 경희대병원 메르스, 강동경희대 메르스, 경희대 메르스 확진, 메르스 진병원, 요양보호사 메르스, 강동성심 메르스,

반응형